묵상하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창세기 17장 15-27절 2014년 1월 31일 금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7장 15-27절 1. 묵상을 위한 질문 1) 왜 사래의 이름을 사라라고 바꾸었을까? 2) 복을 주신다는 의미는 무엇일까? 3) 사라에게 나는 자식 이삭과 이스마엘의 관계를 하나님께서 어떻게 설정하시는가? 4) 아브라함이 할례를 한 것은 어떤 의미일까? 2. 질문에 대한 고려점들 1) 아브람의 이름을 아브라함으로 바꾸도록 하셨다(5). 마찬가지로 사래의 이름도 사라로 불리운다. 이름의 변경은 새로운 정체성을 말한다. 언약을 담지하는 새로운 인간됨을 말한다. 이것을 할례라는 형식과 더불어 확립한다. 로마교가 세례명을 주는 일은 이런 전통과 연결된다. 사라의 경우, 아이를 낳을 수 없는 몸에서 아이를 낳게 하신다. 이것은 죽은 태를 여시는 것.. 더보기 창세기 17장 1-14절 2014년 1월 30일 목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7장 1-14절 1. 묵상을 위한 질문 1) 구십 구세에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신 의미는? 2) 그때 전능한 하나님으로 자신를 드러내신 이유는? 3)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는 말의 의미는 문맥적으로 어떻게 규정해야 하는가? 4) 언약과 포피를 베는 할례와의 관계는 무엇인가? 5) 왜 할례가 포피를 베는 것으로 규정했을까? 2. 질문에 대한 고려점들 1) 아브람이 가나안 땅에 도착한 때가 75세였다(창12:4). 그리고 하갈을 통해서 이스마엘을 낳은 때가 86세였다(16:16). 가나안 땅에 와서 이스마엘을 낳은 때까지의 기간이 불과 11년이다. 그런데 이스마엘을 낳은 후 13년동안 침묵하시다가 비로소 말씀하신다. 이것은 이스마엘의.. 더보기 2014년 1월 29일 수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6장 1-16절 2014년 1월 29일 수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6장 1-16절 1. 묵상을 위한 질문들 1) 왜 사래가 아브람에게 하갈을 제안했을까? 2) 하갈이 임신하자 여주인을 멸시한다. 이를 항의하자 아브람은 하갈을 사래의 수중에 맡기자 사래는 하갈을 학대한다. 하갈은 도망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3) 도망한 하갈에게 하나님께서 나타나셔서 주신 약속은 무엇인가? 4) 이스마엘의 탄생이 주는 의미는? 2. 질문에 대한 고려점들 1) 사래가 아브람에게 하갈을 제안한 이유를 살피기 위해서 문맥을 살펴야 한다. 롯과 헤어진 이후 종인 다메섹 엘리에셀을 상속자로 삼으려 하자, 하나님께서 네 몸에서 날 자가 상속자가 될 것이라고 하셨다(창15:4). 이것은 조카 롯이나 다메섹 엘리에셀.. 더보기 창세기 15장 1-21절 2014년 1월 28일 화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5장 1-21절 1. 묵상을 위한 질문들 1) 1절의 '이후는'는 무엇이며 왜 그 후에 두려움에 대해서, 방패되심에 대해서 말씀하시는가? 2) 이에 대해서 아브람이 상속자의 문제를 언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3) 6절에서 믿으니 의로 여기셨다는 말의 의미는? 4) 땅을 소유로 받는 증거로서 숫양과 산비둘기 등을 가지고 오게 하신 이유는? 5) 왜 사백년 후에 약속의 땅을 주시겠다고 하셨는가? 6) 18절에 언약을 세운다는 의미와 그 내용은 무엇인가? 2.질문에 대한 고려점들 1) 1절의 이후는 문맥적으로 소돔왕의 호의를 거절하고 멜기세덱에게 십일조를 바친 후이다. 이것은 소돔왕과의 적대 관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비록 죄가 가득한 소돔과는 .. 더보기 창세기 14장 13-24절 2014년 1월 27일 월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4장 13-24절 1. 아브람에게 조카 롯의 포로된 상황을 알려준다. 이에 아브람은 마므레에서 거주한다. 많은 재산을 가진 아브람을 마므레는 동맹을 맺을 자로 인정한 것이다. 거기서 318인을 거느리고 추격하여 롯을 구출한다. 애굽으로 갔다가 돌아오면서 얻은 재물이 가나안의 정착을 돕고 있다. 그리고 롯을 구출한다. 롯을 구출한 동기는 함께 약속의 땅으로 온 식구를 기억함이다. 같은 길을 왔지만 그러나 세상을 사랑하여 간 롯을 긍휼히 여긴다. 이것은 신약에서 롯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맞물린다. (벧후2:7) 무법한 자들 가운데 고통당하는 의로운 롯이다. 그의 의로움은 구체적으로는 나그네를 접대한 사건과 연결되지만(창19:1-3) 궁극적으.. 더보기 시편 52편 1-9절 2014년 1월 28일 주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시편 52편 1-9절 1. 시편은 포악한 자의 악한 계획과 하나님의 인자하심이 대립하고 있다(1). 그리고 나아가 악과 선, 거짓과 의가 대립한다(2-3). 그리고 하나님의 인자하심을 힘으로 삼는 것과 재물의 풍부함을 의지하는 것과 대조가 된다(7-8). 따라서 악인의 악한 계획과 재물의 풍부가 악과 거짓을 도모하고 혀로서 말로서 간사를 말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인자에 의존하는 자는 선과 의에 집착한다. 2. 이런 양자의 결말도 대조된다. 간사한 말을 하는 포악한 자는 장막에서 뽑히며 뿌리가 빠지게 된다(5). 그러나 반대로 하나님의 인자를 의지하는 자는 푸른 감람나무와 같아서 굳게 선다. 시1편의 그림과 다르지 않다. 3. 이런 결과를 보면서 흔들.. 더보기 창세기 14장 1-12절 2014년 1월 25일 토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4장 1-12절 1. 롯이 선택한 땅은 여호와의 동산과 같고 애굽 땅과 같다고 했다[13:10]. 비옥한 땅이다. 이런 땅을 배경으로 소돔은 동맹을 맺어서 북방의 시날의 아므라벨 동맹군과 전투를 하다가 패배하여 모든 재물과 양식을 빼앗기고 롯도 포로가 된다. 비옥한 땅을 선택할 때 이런 결과를 예상했을까? 2. 소돔 사람이 여호와 앞에 악하며 큰 죄인이라고 했다[13:12]. 여호와의 기준에 근거해서 악인이며 죄인이다. 이는 창18:20-21에서 확인된다. 소돔과 고모라에 대한 부르짖음이 크고 그 죄악이 심히 무겁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바벨과 같이 내려가셔서 확인하신다[창11:7]. 의와 공평이 없는 나라의 대표가 소돔이다. 이런 선택을 .. 더보기 창세기 13장 1-18절 2014년 1월 24일 금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3장 1-18절 1. 아브람의 여정이 주목된다. 애굽으로 내려갔던 길을 따라서[세겜 모레 상수리 나무-벧엘과 아이 사이-남방 광야-애굽] 그대로 올라오고[애굽-네겝[남방]-벧엘과 아이 이사이-헤브론 마므레 상수리 수풀] . 2.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는 것과 제단을 쌓는 것도 대칭이 된다[13:4, 12:8// 13:1812:7]. 3. 애굽에서의 재산의 증식은 조카 롯과 헤어지는 계기가 된다[6]. 4. 롯이 눈을 들어 보는 것과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너는 눈을 들어 ... 바라보라는 말은 바벨과 아브람의 나라와의 차이이다. 바벨은 우리가 우리 이름을 내는 것이고, 아브람은 하나님께서 이름을 창대하게[크게] 하시는 것이다. 여기서도 롯은 .. 더보기 창세기 12장 10-20절 2014년 1월 23일 목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2장 10-20절 1. 본문 구절 해설 애굽에 거류하려고(10). 아브람이 약속의 땅으로 왔지만 정착하지 못한다. 이미 정착한 가나안의 족속들이 있기 때문이다. 점점 남쪽으로 간 것은 광야지대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심각한 기근이 들자 애굽으로 간다. 애굽은 나일이 주는 정기적인 범람으로 비옥한 땅을 가졌기 때문이다. 양식을 얻기 위해서 애굽으로 간다. 나그네의 길에다가 먹을 것이 없는 슬픈 현실이다. 나의 누이라 하라(13). 아브람은 애굽에서 생명의 위협을 느낀다. 아내를 통해서 삶을 얻기 위해서 누이라고 속이기로 합의한다. 세상을 사는 세상적인 지혜이다(이것은 하나의 삶이 방식이 된다 창20:13). 이런 세상의 지혜를 가지고 하나님의.. 더보기 창세기 11장 27절-12장 9절 2014년 1월 22일 수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1장 27절-12장 9절 떠나서 가라 1. 본문 구절 해설 사래는 임신하지 못하므로(11:30) 아브람의 아내 사래는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자였다. 데라가 우르를 떠날 때에 조카 롯을 데리고 떠난다. 그리고 하란에서 다시 가나안으로 갈 때에 아브람은 조카를 데리고 간다. 자녀가 없는 아브람은 조카 롯을 양자로 삼기 위해서 데리고 간다. 임신하지 못하는 아내를 가진 아브람을 불러서 번성을 약속하신다. ... 떠나... 가라(12:1) 하나님이 아브람을 하란 땅에서 데라가 죽은 후에 부르신다. 부름은 두 가지 측면을 가진다. 떠남과 나아감이다. 먼저 떠날 것은 고향, 친척, 아버지 집이다. 땅과 사람과 아버지의 권위가 드리워진 질서를 떠난다..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