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22일 수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1장 27절-12장 9절
떠나서 가라
1. 본문 구절 해설
사래는 임신하지 못하므로(11:30) 아브람의 아내 사래는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자였다. 데라가 우르를 떠날 때에 조카 롯을 데리고 떠난다. 그리고 하란에서 다시 가나안으로 갈 때에 아브람은 조카를 데리고 간다. 자녀가 없는 아브람은 조카 롯을 양자로 삼기 위해서 데리고 간다. 임신하지 못하는 아내를 가진 아브람을 불러서 번성을 약속하신다. ...
떠나... 가라(12:1) 하나님이 아브람을 하란 땅에서 데라가 죽은 후에 부르신다. 부름은 두 가지 측면을 가진다. 떠남과 나아감이다. 먼저 떠날 것은 고향, 친척, 아버지 집이다. 땅과 사람과 아버지의 권위가 드리워진 질서를 떠난다. 그리고 가라고 하는 곳에서 주어진 약속이 있다. 보여 줄 땅과 큰 민족, 그리고 이름의 창대이다. 땅과 사람 그리고 이름의 커짐은 권위와 질서이다. 세가지의 떠남과 약속은 나라를 떠남과 나라의 형성을 말한다. 바벨로 세워진 나라는 떠나서 새로운 나라를 세우시려는 하나님의 계획을 순종하는 아브람이다.
점점 남방으로 옮겨갔더라(12:9) 약속의 말씀을 따라서 갔지만 가나안 땅은 비어있는 땅이 아니다. 그래서 거주지를 찾지 못하고 떠돌이 생활을 한다(시105:12-13). 북으로부터 들어와서 점점 밀려 남쪽으로 내려간다. 나그네의 삶이다.
2. 본문의 흐름
바벨 이후 세상의 심판을 모면하도록 언어를 통해서 나라와 민족들을 흩으셨다. 세상 나라들이 탄생했다. 그런데 이런 나라들이 어느정도 죄를 억제하지만 온전히 창조를 회복하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 단지 창조를 보존하는 방편이다. 죄가 해결되어야만 즉 죄가 제거되어야만 창조가 회복된다. 이를 위해서 새로운 나라가 필요했다. 아브람을 불러서 죄를 제거하는 의와 공평의 나라를 세우신다. 이를 위해서 아이를 낳지 못하는 아내 사라를 가진 아브람을 불러서 새로운 땅과 민족 그리고 이름(권위)을 가진 나라를 세우신다. 이스라엘이며 하나님의 나라이다.
아브람의 나라는 바벨과 다른 중요한 특징이 스스로 이름을 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신다(11:4, 12:2). 이름은 권세이다. 이렇게 아브람의 나라를 하나님께서 적극적으로 세우셔서 세상에 복이 되게 하신다. 복은 창조의 회복을 위한 방편이다. 이스라엘을 통해 세상을 회복하는 길을 여신다. 셈의 하나님이 그 자손 아브람을 부르신 것이다. 그러나 약속의 땅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나그네 길을 걷는다.
3. 본문에 대한 질문
아브람이 떠나야 할 것이 무엇이고 그리고 그 때 무엇을 약속하셨는가?
바벨 이후에 아브람을 부르신 목적이 무엇인가?
왜 가나안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남방으로 떠도는가?
4. 본문에서 적용으로
아브람을 부르실 때 아이를 낳지 못하는 아내 사라가 있었다. 그런데 번성을 약속하신다. 새로운 나라를 위한 부름이다. 불가능한 현실에서 약속이 주어진다. 인간의 안목에서 좌절과 실망 그리고 이해가 되지 않는 하나님의 소망의 약속이다. 창세기 나머지 본문은 자녀를 낳는 과정을 기록한다. 조카 롯을 떠나게 하시고, 종이었던 다메섹 엘리에셀도 거부하시고, 아브람의 몸에서 난 이스마엘도 아니라, 바로 아이를 낳지 못하는 사라에게서 난 이삭을 얻는 과정이다. 이런 과정이 죽은 태를 여시는 부활의 과정을 경험한 것이다. 약속은 부활을 통해서 열매를 맺는다. 이유는 죄를 극복하는 나라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죄를 이기는 힘은 부활의 능력이다. 죄가 사망을 부르기에 사망을 이기는 부활의 능력이 복음의 힘이다.
오늘도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부르신다. 세상나라에서 떠나서 하나님의 나라로 부르심이다. 비록 세상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나라이지만 그 형성과 가치가 세상적인 방식이 아니라 그리스도적이고 은혜를 통한 형성이 된다. 세상을 이긴 이김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런 믿음의 안목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받는 성도들과 교회가 되어야 한다
5. 본문에서 찬송과 기도로
아브람을 불러서 세상에 복이 되게 하신 하나님을 찬송합니다.
무능한 자들을 불러서 하나님의 나라의 백성으로 삼으신 주님께 감사합니다
'묵상하기 > SFC 날마다 주님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13장 1-18절 (0) | 2014.01.27 |
---|---|
창세기 12장 10-20절 (0) | 2014.01.24 |
창세기 11장 10-26절 (0) | 2014.01.21 |
창세기 11장 1-9절 (0) | 2014.01.20 |
창세기 10장 21-32절 (0) | 201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