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묵상하기/SFC 날마다 주님과

2014년 1월 29일 수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6장 1-16절

창세기 16장 1-16절.hwp

2014년 1월 29일 수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6장 1-16절

1. 묵상을 위한 질문들
1) 왜 사래가 아브람에게 하갈을 제안했을까?
2) 하갈이 임신하자 여주인을 멸시한다. 이를 항의하자 아브람은 하갈을 사래의 수중에 맡기자 사래는 하갈을 학대한다. 하갈은 도망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3) 도망한 하갈에게 하나님께서 나타나셔서 주신 약속은 무엇인가?
4) 이스마엘의 탄생이 주는 의미는?

2. 질문에 대한 고려점들
1) 사래가 아브람에게 하갈을 제안한 이유를 살피기 위해서 문맥을 살펴야 한다. 롯과 헤어진 이후 종인 다메섹 엘리에셀을 상속자로 삼으려 하자, 하나님께서 네 몸에서 날 자가 상속자가 될 것이라고 하셨다(창15:4). 이것은 조카 롯이나 다메섹 엘리에셀이 상속자가 되지 못함을 말한다. 그러나 현실은 사래가 아이를 낳지 못한다. 하나님의 약속인 큰 민족이 되기 위해서는 상속자가 절실하다. 사래는 자신의 현실과 하나님의 약속의 타협점으로 하갈을 제시했다. 그러나 하나님의 약속이 이렇게 성취될까? 거룩과 세속이 그렇게 간단하게 연결이 될까? 세상 속에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방식이 간단할까?
2) 사래가 제시하고 아브람이 수용한 방식은 많은 갈등을 일으킨다. 멸시와 모욕 그리고 학대와 추방이 이어진다. 세상 나라가 서는 방식이다. 힘이 있는 자가 승리하는 방식이다. 여기에 은혜가 있는가? 죄를 극복하는 진정한 힘이 있는가? 비록 이스마엘을 통해서 번성이 약속되기는 하지만 여기에는 평화도 없고, 안식도 없다.
3) 하갈에게 나타나신 하나님은 번성을 약속하신다. 사래의 학대를 통한 고통을 하나님께서 들으셨다. 그래서 하갈은 살피시는 하나님, 브엘라헤로이라는 이름을 불렀다. 그러나 언약의 상속자는 아니다. 언약의 축복에 참여하는 것과 상속자가 되는 것은 분리가 필요하다. 번성을 통해서 하나님의 돌보심을 기억하면서 하나님을 섬김을 계속해야만 한다.
4) 이스마엘이 현재의 이슬람과 연결되고 또한 아랍 족속들의 조상이라고 해서 부정적인 인상만을 가지는 것은 편견이다. 아브람의 자손들이 번성하리라는 약속을 이스마엘도 담고 있다. 그러나 그도 아브람의 상속자와 잘 연결되어야 한다. 그것은 세상 나라 가운데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시는 하나님과 연결되어야 한다. 이스마엘은 세상 나라처럼 번성한다. 경쟁을 통해서 서로를 정복함을 통해서. 그러나 이것이 아브람을 부르셔서 세우려는 나라의 본질을 담지하지 못한다. 이스마엘이 가지는 긍정과 부정이 있다. 긍정은 하나님께서 들으신 결과이고 초대를 받고 있다. 부정은 또 하나의 세상나라가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

3. 회개의 복음이 만들어가는 하나님의 나라를 소망합니다.
태어날 이삭과 태어난 이스마엘은 외형적인 차이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약속을 담고, 죄와 그 영향력을 이기는 권세를 담고 있는가의 차이가 있다. 이스마엘이 번성하는 것만으로는 진정한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될수는 없다. 세상에서의 성공이 은혜앞에 겸손해 지는 그날까지...

'묵상하기 > SFC 날마다 주님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17장 15-27절  (0) 2014.02.01
창세기 17장 1-14절  (0) 2014.01.30
창세기 15장 1-21절  (0) 2014.01.28
창세기 14장 13-24절  (0) 2014.01.27
시편 52편 1-9절  (0) 2014.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