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10장 21-32절 2014년 1월 18일 토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장 21-32절 셈의 하나님을 찬송하리로다 1. 본문 구절 해설 에벨 온 자손의 조상이요 야벳의 형이라[21] 셈을 에벨 자손들의 조상이라고 부른 이유가 무엇일까? 또한 야벳의 큰 형이라고 소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왜 큰 형을 동생들 뒤에 소개할까? 이런 질문들의 답을 보통 에벨과 히브리의 연관성에서 찾는다. 같은 자음으로 구성되었고, 또한 셈의 자손 가운데 아브라함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갈대아 우르에서 시작하여 하란에 정착한 데라를 이어 아브라함이 유브라데 강을 건너[아발] 가나안으로 들어왔다. 언약을 이어가는 형제를 마지막에 소개하는 것은 창세기의 틀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의 족보를 이어서 이삭의 족보가 소개된다. 마찬가지로.. 더보기 창세기 10장 1-20절 2014년 1월 17일 금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0장 1-20절 남아 있는 쓴 뿌리의 위용들 1. 본문 구절 해설 셈과 함과 야벳의 족보는 이러하니라[1] 새로운 단락의 시작이다. 토레도트 형식의 표제어이다. 노아와 함께 방주에서 살아남은 자들의 역사가 이러하다는 의미이다. 번성하라는 말씀을 가지고 다시 출발하는 노아의 자녀들이다. 그러나 죄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한 것이 문제를 일으킨다. 니므롯의 등장과 바벨 건축이 그것이다. 그는 세상에 첫 용사라[8] 용사라는 단어가 창6:4절에서 네피림을 가리키는 말로 등장한다. 비록 복수이지만 같은 단어이다. 그런데 첫 용사라는 말은 이후 제국을 형성하는 측면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9절에서 여호와 앞에서 용감한 사냥꾼이라고 하는데, 여호와 앞.. 더보기 창세기 9장 18-29절 2014년 1월 16일 목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9장 18-29절 술취하는 세상에서 은혜만으로 1. 본문 구절 해설 포도주를 마시고 취하여[21] 술에 취하면 판단이 중지된다. 따라서 부끄러운 것을 수치로 여기지 못한다. 타락한 세상에서 벌거벗은 것은 수치스러운 것이다. 술 취함이 만든 부끄러운 세상이다. 결국 자손의 저주를 부른다. 가나안은 저주를 받아[25] 함이 아버지 노아의 수치를 형제들에게 이야기함으로 아버지를 부끄럽게 하였다. 함의 행동이 아버지를 부끄럽게 하였듯이, 그 행위의 영향이 자손에게 미치게 된다. 가나안이 지목된 것은 이후에 이스라엘과 가나안과의 갈등과 관계있다. 셈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26] 누구의 하나님이 된다는 것은 언약적인 표현이다. 셈과 하나님 사.. 더보기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