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9장 1-17절 2014년 1월 15일 수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9장 1-17절 창조와 노아의 언약 1. 본문 구성해설 산 동물은 너희의 먹을 것이 되리라[3] 창조 때에 사람에게 채소와 과일을 먹을 거리로 주시고, 짐승들에게는 푸른 풀을 먹을 거리로 주셨다[창1:29]. 그런데 타락한 후에 변화된 자연 질서로 인해서 고기도 먹을 거리로 주신다. 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그 사람의 피도 흘린 것이니[6] 피를 흘린 것은 살인을 의미한다. 살인에 대해서는 살인한 자의 피를 흘려야 한다. 일종의 보복법이다. 그래서 살인에 대한 사형제도가 유의미하다. 이것이 보편법으로 오늘날에도 존재하는가가 논쟁거리이다. 내 무지개를 구름 속에 두었나니[13] 원래 창조시에 무지개가 있었다. 단지 무지개에 새로운 언약적 의미.. 더보기 창세기 8장 1-22절 2014년 1월 14일 화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8장 1-22절 하나님의 기억하심과 물이 물러감 1. 본문 구절 해설 하나님이... 기억하사[1] 7장에서 물이 불어나서 모든 생명을 심판하였다. 8장은 물이 줄어들어서 방주에서 노아 일행이 나왔다. 이런 심판에서 구원으로의 변화의 중심은 하나님의 기억하심이다. 이런 기억은[출2:23-25, 시105:4,45, 눅1:54,72] 출애굽과 모든 구원을 일으키는 원동력이다. 메시야의 오심도 마찬가지이다. 여호와께 제단을 쌓고[20] 홍수 후에 방주에서 나와서 구원을 주신 하나님께 정결한 짐승으로 제사를 드린다. 구원은 예배를 통해서 기념되어진다. 하나님만이 홍수를 이기게 하신 힘이다. 타락의 모든 뿌리가 아직 뽑혀지지 않았지만 여자의 후손이 오.. 더보기 창세기 7장 13-24절 2014년 1월 13일 월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7장 13-24절 1.본문 구절 해설 노아의 아내와 세 며누리가[13] 노아의 가정은 일부 일처를 유지한다. 이것이 창조의 질서이다. 자기가 원하는대로 아내를 취하여 결혼하는 시대의 풍조와 다른 모습이다[6:2]. 노아의 늦은 결혼은 경건한 가정의 보존이다. 물이 많아져[17] 홍수는 물이 불어나는 결과로 나아간다. 물이 많아졌다는 표현이 17,18,19,20,24절에 걸쳐 반복된다. 심판으로서 물이 많아짐이다. 궁창을 통해 물들의 경계가 무너지고, 물과 땅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창조의 질서가 무너지는 종말이다. 다 죽었더라[22] 죽음은 죄의 결과이다. 부패와 포악이 만든 결과이다. 그러나 방주와 그 안에는 창조가 보존된다. 생명이다. 2... 더보기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