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편 48편 거룩한 북방의 시온산의 성전에 계신 여호와의 통치로 인하여 온 세계가 두려워하고 떤다. 여호와께서 정의로운 통치와 인자하심에 여호와의 성이 굳게 선다. 이런 여호와께서 우리의 영원한 인도자가 되신다. 왜 시온 산이 북방에 있다고(2) 진술하는가? 더보기
에스겔 9장 북향한 윗 문 길로부터 오는 6인 중 하나가 예루살렘 백성 중에서 다니며 이마에 인을 친다. 예루살렘 성읍 중에서 일어나는 가증한 일로 인하여 탄식하며 우는 자들의 이마에 표를 준다. 하나님의 진노와 갚으심이 이마에 표가 없는 자들에게 임한다. 이마에 인침은 계7:3, 13:16절과 관련된다. 편 가름의 표시이다. 긍휼이 없다. 물신과 배교가 있는 오늘날의 현실에 탄식하는 자들이 누구인가? 더보기
고린도전서 11장 여자가 머리에 가리는 것을 쓰는 것은 기도와 예언의 경우이다(5). 이것이 중단될 수 있는 전통인가(2) 혹은 지속성을 가져야 하는가? 예언이기에 예배에서 경우이다. 긴머리가 가리는 것을 대신할 수 있다(17). 그리고 교회의 모임이 분쟁이 생겼다. 성찬시 기다리지 않고 먹는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성찬이 가진 복음 정신에 위반한다. 성찬에서 가난한 자들을 기다리는 것이 성찬의 원래의 뜻과 일치한다.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24)", 그리고 "새 언약이니(25)"라는 선언이 교회의 분쟁에 어떤 해결점을 제시하는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