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제에 대한 믿을 만한 증거는 역시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았다는 사실에서
얻을 수 있다. (창1:27)
왜냐하면, 하나님의 영광이 인간의 외형에서 빛나고 있지만 그러나 그 형상의 본래의 좌소가 영혼에 자리잡고 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상권 p290, p291)
► “형상”이라는 말과 “모양”이라는 말에 대해서는 주석가들 사이에 적지 않은 논쟁이 있는데,
그것은 그들이 이 두 말의 차이점을 까닭 없이 찾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모양”이라는 말은 설명을 위해서 첨가된 것일 뿐 그 두 말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첫째, 말을 반복하는 것은 히브리인들에게 흔히 있는 일이어서
그들은 한 가지 일을 두 번 연거푸 표현하는 것을 알고 있다.
둘째, 이 문제 자체에서 볼 때 인간이 하나님을 닮은 까닭에
단순히 하나님의 형상이라고 불린다는 것은 조금도 모호하지 않다.
(상권 p292)
► 이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말은 아담이 처음에 받았던 그 완전함을 의미한다.
아담은 처음에 바른 이해력을 충분히 소유하였고 감정을 이성에 종속시켰으며
일체의 감각을 적절한 질서에 따라 조절하였다.
(상권 p293)
► 하나님의 형상이 전적으로 소멸되거나 파괴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아주 부패했기 때문에,
남은 것은 다만 무섭도록 추한 것 뿐이다.
(상권 p294)
► 하나님의 형상은 인간성의 완전한 탁월성으로, 이것은 타락 이전에는 아담 안에서 빛나고 있었으나
후에는 부패하여 거의 지워졌기 때문에, 파멸 후에 남은 것이라고는 오직 혼란하고 이지러지고 오염된 것
뿐이다.
(상권 p295)
►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이 남이 있는 행적을 보며,
이 형적이 인류 전체와 다른 피조물들을 구별한다. (상권 p407)
► 이 하나님의 형상은 당연히 인간의 내부에서 찾아야 하는 것으로, 밖에서 찾아서는 안 된다.
실로 그것은 영혼의 내적 선(善)인 것이다.
아담의 죄로 인하여 인간이 시초의 천품을 잃었고 인류 전체가 파멸하게 되었다. (상권 p367)
'기독교 교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법과 교회 전통, 예배, 하나님 앞에 있는 그리스도인의 양심 (0) | 2015.08.02 |
---|---|
신학, 신지식, `안다, 앎`의 의미 (0) | 2015.08.01 |
기독교 강요 제 16 장 (1 ~ 4) (0) | 2015.07.31 |
자기에 대한 그릇된 지식과 바른 지식 (0) | 2015.07.28 |
진리의 기둥 모임에서의 우리의 자세 1 (0) | 201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