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도르트 신경 첫째 교리 하나님의 선택과 유기(遺棄) 제 1 장 모든 인간은 아담 안에서 범죄하여 저주 아래 놓여 있으며, 영원한 죽음을 받기에 마땅하므로,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버려둔 채 멸망받아 죄값으로 형벌을 받도록 하실 수도 있는 분이신데, 이는 사도의 다음의 말과 같은 것이다. "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니라"(롬 3:19),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롬 3:23), "죄의 삵은 사망이요"(롬 6:23) 제 2 장 그러나 여기에 하나님의 사랑이 나타났으니,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 바 되엇으니,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저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리려 하심이니라"(요일 4:9 ; 요 3:16) 제 3.. 더보기 Dordt (1618-9) The Canons of Dordt The Decision of the Synod of Dordt on the Five Main Points of Doctrine in Dispute in the Netherlands is popularly known as the Canons of Dordt. It consists of statements of doctrine adopted by the great Synod of Dordt which met in the city of Dordrecht in 1618-19. Although this was a national synod of the Reformed churches of the Netherlands, it had an international character.. 더보기 도르트 신조의 특징 및 평가 도르트 총회는 개혁교회의 역사 중에서 유일하게, 준 세계교회 총회의 성격을 가진 회의였다. 이런 점에서 보면 신학자들의 모임이었던 웨스트민스터 총회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도르트회의의 평가는 교리적 입장에 따라 서로 달라진다. 한쪽은 학식이나 경건함에 있어서 사도시대 이후 어떤 회의보다 뛰어났다는 평가를 한 반면 공정한 대접을 받지 못했던 항론파들은 도르트 총회가 칼빈주위 일색이었고 지나치게 편협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도르트 신조가 칼빈주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일치신조가 루터교회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비슷하다. 두 신조는 모두 신학적 능력과 관심에서 매우 고차원적인 질서를 보이고 있다. 두 신조는 모두 일관성이 있으며 교회에 강력한 보수적 영향을 남겼고 스콜라 철학을 대치할 수 있는.. 더보기 도르트 회의 도르트 회의(1618-1619년) 알미니우스의 가르침 전반에 걸친 논쟁은 서로 적대하고 있는 네덜란드의 정치적 파당에까지 파급되어 내란의 위험도 있었다. 반항론파의 투쟁이 승리로 끝나자, 회의를 소집했는데 그것은 1618년 11월 18일에서 1619년 5월 9일까지 도르트(Dort)에서 개최되었다. 참석자는 84명의 대표와 18명의 비종교인 대표로 구성되었다. 그중 58명은 네덜란드인이었고 나머지는 외국인이었다. 이것은 이때 항론파의 주장(전국 교회회의에서 공정한 심문을 받을 수 없으며 단순히 지역적인 개인문제가 투쟁을 야기시켰다.)에 대하여 재판절차에 공정성을 보증하고 증명하기 위하여 유럽 전역에 있는 개혁교회들로부터 대표들을 초대하여 교회회의 대표단으로 조직하였기 때문이다.. 스텐포드 리드, 칼빈이 .. 더보기 영감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되었다(딤후 3:16). 문법상 성경은 각 부분이나 전체적으로 영감되었다고 본문을 번역해도 상관 없다. 그렇지만 "유익하니"라는 말의 뒤에 술어가 없으므로, '각 영감된 성경은 유익하다'는 번역은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결국 '전체 성경' 또는 15절의 '성경들'에 포함되는 '각 성경'이 영감되었다는 두 입장 중에서 선택할 수 밖에 없다. 관사가 없으므로 'All Scripture'를 말하나, 더 정확하게는 영감이 성경 그 자체(Scripture as such)에 속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문은 구약을 지칭하지만, 신약도 포함된다. (벧후 3:2) 〔마 2:3; 행 2:36; 고후 12:12; 엡 1:8; 2:21; 3:15; 골4:12; 벧전 1:15; 약 1:2〕.. 더보기 성경의 속성 성경의 속성 성경의 속성론은 종교개혁 당시에 로마교 및 신령주의와의 투쟁의 결과로 형성되었다. 여기에는 권위와 확실성, 충분성과 완전성, 필수불가결성과 명백성이 있다. 우리는 이 속성들을 로마교 뿐만 아니라 현대의 비평학에 대항하면서도 계속 주장하려고 한다. 1) 성경의 권위 로마교도 성경의 권위를 말하나 이를 다시 교회의 권위에 의존시킨다. 그러나 성경은 인간이나 교회에 의존적이지 않고 스스로 권위를 가진다. 교회는 선지자와 사도들, 곧 그들의 설교 위에 세워졌다. 전체 성경은 자기 권위를 스스로 말한다. 나아가 성경의 권위는 인간의 증거가 아니라 저자인 하나님의 증거에 의존한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 달리 표현하면 영감에 성경의 권위가 기초된다. '오직 성경'(solascripture)은 '.. 더보기 칼빈에게 있어서 오직 성경 "네가 성경을 유용하게 읽거나 취급하기를 원한다면, 가능한 한 많은 본문을 준비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도록 하라. 그러면 준비된 많은 본문이 빈곤하고 아주 복잡한 본문에서 너를 구해줄 것이다. 그러나 거기에서 성경본문에 대해서 차곡차곡 쌓이도록 이용하는 것에 대해무엇보다도 주의 깊게 신중함을 기하고 그렇게 다루어진다면, 얼마큼 많으냐가 아니라 얼마나 잘 읽고 그것을 얼마나 확실하게 기억에 남게 할 것인지 그것을 염려하게 될 것이다. 너는 가능한 한 자주 읽도록 하며, 읽은 것은 너에게 주지하여 능하게 하고, 그것을 충분히 정리하는 것을 결코 소홀히 하지 않도록 하라." - 볼링거. "성경연구 규범"(1527) "그러므로 우리들은 정신과 말에 있어서, 하나님과 그의 신비에 대하여 아주 경건한 절도를 가지지 .. 더보기 성령과 구원사역 본 각론은 그리스도가 이미 획득한 구속을 적용하는 성령의 구원사역이다. 1. 성령강림 일찍이 이사야가 예언한 성령이 예수께 임하므로 예수의 시대가 도래한 것처럼, 요엘이 예언한 바 성령께서 제자들에게 임하심으로 교회시대가 도래하였다 이 교회 시대는 오순절 성령강림으로 구체적으로 도래했다. 따라서 우리는 오순절 성령강림을 구원역사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 배경은 다음 두 가지이다. 이스라엘은 첫 유월절 이후 50일째 되는 날에 시내산에서 율법을 받았다. 하나님은 그 법, 특히 십계명과 더불어 당신의 백성 중에 거처를 정하셨다. 이것은 ‘언약의 축제’이다. 이런 임재가 시대를 넘어서 오순절 예루살렘에서 성취되었다. 둘째로, 구약 시대에는 이 오순절이 수확의 절기였다. (출 23:16; 레 23:16이하; 민.. 더보기 교회법과 교회 전통 : 하나님 앞에 있는 그리스도인의 양심 양심의 정의 양심의 정의를 알기 위해서는 양심(conscience)의 어근을 보아야 한다. 우리가 어떤 물건의 개념을 지성과 오성으로 파악할 때에 우리는 "안다"(to know)고 하며, 여기서 지식(knowledge)이란 말이 생겼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하나님의 판단을 마음으로 의식하며 이 의식이 한 증인같이 붙어 있어서 우리가 우리의 죄를 감추는 것을 허락하지 않고 우리를 심판대 앞에서 고발할 때에 이 의식을 "양심"이라고 한다. 양심은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있는 일종의 매개물로서, 사람이 아는 것을 마음 속에서 떨쳐버리지 못하게 하며 그 죄과를 인정할 때까지 추궁한다. (롬 2:15-16) 더보기 교회법과 교회 전통, 예배, 하나님 앞에 있는 그리스도인의 양심 아래의 글은 기독교 강요 하권에 나오는 부분 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직접 읽어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교회법과 교회 전통, 하나님 앞에 있는 그리스도인의 양심 하나님을 경배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성경 말씀과는 별도로 사람들이 발표한 모든 명령을 "인간적 전통들"이라고 부르는 것이 통례가 되었다. 우리는 이 전통들에 반대한다. 규율이나 성실이나 평화를 유지하는 데 유익한 교회의 거룩한 제도들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사람의 영혼에 대해서 무제한적이고 야만적인 지배권을 행사하는 것을 제지하려는 것이 우리..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