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독교 교리

도르트 신조의 특징 및 평가

도르트 총회는 개혁교회의 역사 중에서 유일하게, 준 세계교회 총회의 성격을 가진 회의였다. 이런 점에서 보면 신학자들의 모임이었던 웨스트민스터 총회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도르트회의의 평가는 교리적 입장에 따라 서로 달라진다. 한쪽은 학식이나 경건함에 있어서 사도시대 이후 어떤 회의보다 뛰어났다는 평가를 한 반면 공정한 대접을 받지 못했던 항론파들은 도르트 총회가 칼빈주위 일색이었고 지나치게 편협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도르트 신조가 칼빈주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일치신조가 루터교회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비슷하다. 두 신조는 모두 신학적 능력과 관심에서 매우 고차원적인 질서를 보이고 있다. 두 신조는 모두 일관성이 있으며 교회에 강력한 보수적 영향을 남겼고 스콜라 철학을 대치할 수 있는 길을 예비하였다. 또한 형식과 분파로 말미암아 앙상한 뼈만 남아있던 교회에 살아있는 생기를 불어 넣어주었으며, 정통주의를 택하고 자유주의를 배격하였으며 제한된 신앙고백주의를 인정하였다. 이 신조는 그 가지를 넓게 뻗쳐 종교개혁의 대 지류를 형성케 하였다.. 필립 샤프, p. 181.

드르트신조는 한마디로 인간의 구원은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로 인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구원이 하나님의 주권에 속한만큼 인간의 어떤 조건을 보고 구원하는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단독 사역임이다. 라고 천명 하였다. 

'기독교 교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르트 신경  (0) 2017.02.13
Dordt (1618-9)  (0) 2017.01.03
도르트 회의  (1) 2016.11.04
영감  (1) 2016.03.19
성경의 속성  (2) 2015.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