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묵상하기/맥체인 성경읽기

시편 46편 성전에 계신 여호와의 위엄은 온 세상이 흔들리는 가운데 굳게 서있다. 이 성소에서 온 세상을 적시는 시내가 흐른다(4). 또한 떠드는 온 세상의 나라의 전쟁을 그치게 하신다. 따라서 이 하나님만이 피난처요(7,11) 도움이 되신다. 더보기
에스겔 8장 여호와께서 성전을 떠나신 이유를 에스겔에게 제시하신다(6). 성전 안뜰, 북향한 문에 하나님의 질투를 일으키는 우상의 자리가 있고, 곤충, 짐승의 우상에게 향을 피우며 섬기는 장로들의 모습, 또한 담무스 여신을 섬기며 애곡하는 여인들, 성전 안뜰에서 성전을 등지고 동쪽 태양을 섬기는 25인의 무리들의 모습들이 여호와께 가증한 일들이다. 긍휼이 없을 것을 선포하신다. 더보기
고린도전서 10장 8장에서 제기된 우상의 제물에 대한 결론에 이른다. 하나님께서 공급하시는 양식과 물을 먹은 이스라엘 백성이 시험에 넘어졌다. 우상숭배하는 집(신전)에서는 숭배한 음식을 먹지 않아야 한다. 이는 우상 즉 귀신과 교제하는 행위이다. 음식이란 원칙적으로 먹어도 되는 하나님의 피조물의 단순한 것이지만 그러나 우상의 집에서는 안된다. 그 외에 시장의 파는 것과 불신자의 집에 초대되어서는 먹어도 되는데, 고발하는 상대방의 양심을 위해서는 거절해야 한다. 많은 사람의 유익을 위해서 살고 구원에 이르러야 한다. 더보기
사무엘상 30장 다윗이 블레셋과의 참전을 위해 소집된 사이 아말렉이 다윗이 머문 도시 시글락을 약탈했다. 하나님께 물어 쫓아가 아말렉을 물리치고 가족들을 회복한다. 또한 얻은 전리품을 전쟁에 참여한 자와 지쳐서 브솔 시내에 머문 자들이 균등하게 분배한다. 이를 거부하는 무리가 벨리알(불량배)이다. 하나님께서 은혜로 주신 것을 공평하게 나누어야 한다는 질서와 규례를 세운다(24-25). 은혜로 얻은 것으로 다윗과 왕래하던 자들에게 선물을 보낸다. 더보기
사무엘상 29장 다윗이 이스라엘과의 전투에서 블레셋 군대로 참전하지 못한다. 이스라엘 왕으로 이미 기름부음을 받는 다윗의 복이다. 사울과 다윗을 찬양하는 노래가(5) 다윗의 생애를 지배한다. 사울의 미움과, 블레셋의 망명 그리고 이제 마지막 사울을 제거하는 일에도 역할을 한다. 사울을 다윗이 아니라 블레셋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처리하신다. 더보기
시편 45편 하나님의 보좌와 연결된 것이 왕의 통치 보좌이다. 그래서 왕은 정의와 공평으로 통치해야 한다. 이로 인해서 온 세상의 통치자로 등극한다. 이런 왕에게 왕의 여인들이 기쁨이 되고, 아들은 왕을 계승하며 만민이 왕을 찬송한다. 더보기
에스겔 7장 이스라엘의 가증한 일(우상숭배 등)로 인하여 모든 끝이 이르렀다. 특히 교만의 끝이 이른다(10, 20, 24). 이방과의 전쟁에 힘을 쓰지 못하고 패배하고 포로가 될 것이다. 이는 묵시와 율법과 책략(모사)가 없어지기 때문이다(26). 말씀이 없는 시대는 소망이 없다. 더보기
고린도전서 9장 8장에서 시작된 우상의 제물을 먹는 문제에 대해서 바울 사도는 권리 주장의 포기를 요청한다.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율법에 속한 일이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서 육체적 대가의 권리가 있지만 그러나 복음을 위해서 값없이 일했다. 복음을 받는 자들의 다양한 형편에 적응하여서 복음의 열매를 얻고자 하였다. 운동장에서 달음질하는 자들의 모습의 실제는 자신을 쳐서 복종하는 일을 통해서 복음의 열매를 얻고자 함이다. 더보기
사무엘상 28장 사울은 블레셋이 침략하는 하는 위기의 순간에 하나님보다는 사무엘이 죽고 나서 자신이 쫓아낸 신접한 여인을 찾는다. 사무엘의 영을 불러내기 위해서. 사무엘로 칭하는 영은 앞서 하신 하나님의 말씀들을 확인한다. 왕권이 다윗에게 주어짐과 사울과 이스라엘이 블레셋의 손에 주어졌다. 블레셋을 물리치도록 부름을 받았으나(삼상9:16) 순종하지 못함으로 그 역할을 하지 못한 왕이 될 것이다. 올라온 영은 누구인가? 가능한 답은 하나님의 영이 사무엘을 칭하면서 사울에게 저주를 선언한다. 사무엘의 죽음을 언급하는 것은 삼상25:1절과 연결된다. 왜 사울은 그때 신접한 여인을 정리했는가? 그리고 왜 이제 신접한 여인을 찾는가? 사무엘을 찾는 이유가 무엇일까? 더보기
시편 44편 저자의 상황은 원수와 미워하는 자에게 수치를 당한다(7). 민족 중에 흩음을 당했고(11), 이웃에게 욕과 조롱을 당한다(13). 이런 가운데서도 주를 잊지 않고 주의 언약 즉 율법을 어기지 않는다(17). 그리고 하나님께서 일어나 도우시기를 구한다(26). 과거에 출애굽과 가나안을 얻도록 함께 하신 하나님께서(1-3) 회복해 주시기를 구한다(4). 활이나 칼을 의지하고 오직 주를 의지하며 주의 이름을 붙잡으면서(5,20) 구원을 호소한다(5-6).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