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묵상하기/맥체인 성경읽기

에스겔 6장 여호와인줄 알게 된다는 표현(7, 10, 13, 14)이 후렴구와 같이 반복된다. 언약적 심판을 통해서 여호와를 알게 된다. 우상숭배와 산당을 섬긴 가증한 일로 악을 행한 결과이다. 섬긴 그 신상과 산당에 시체가 있다. 이방에 포로가 되고, 칼, 기근, 전염병으로 죽임을 당한다. 스스로 이방과 같이 되어 저주를 자초한 어리석음이다. 더보기
고린도전서 8장 우상의 제물을 먹는 것에 있어서 믿음이 약한 자들을 배려해야 한다. 참된 지식 즉 우상이 아무 것도 아니고 먹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지식을 모두가 알지 못한다(7). 그래서 우상의 집에 앉아서 먹는 것을 특히나 금한다. 지식이 자유를 주기는 하지만(9) 동시에 교만하게 한다. 그러나 사랑은 덕을 세운다(1). 따라서 믿음이 약한 자들이 실족하지 않도록, 바울 사도는 스스로 영원히 고기를 먹는 일을 금한다. 더보기
사무엘상 27장 다윗이 블레셋 가드왕 아기스에게로 망명을 요청하였고, 허락을 받았다. 이는 다윗과 사울의 갈등이 깊다는 정보를 확인한 후에 이루어진 조치로 보인다. 다윗은 이스라엘 백성의 편에서 계속 왕으로 역할한다(이방을 침으로서). 고려할 점- 블레셋으로의 망명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그리고 블레셋 사람에게 거짓말로 유다 남방 사람들을 침노했다는 보고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그리고 6절에 '오늘까지'의 시점은 언제인가? 시글락이 유다 왕에게 속했다는 표현은 적어도 남북 왕국으로 분열된 상태를 말한다. 삼상의 기록시점은? 더보기
시편 42·43편 반복되는 후렴구는 두 시편을 하나로 연결한다(42:5, 10, 43:5). 영혼의 낙심과 불안을 극복하는 길은 여호와께 소망을 두는 것이다. 낙심의 근거들은 3절에 네 하나님이 어디 있느냐?, 9절에 원수의 압제로 하나님께 잊혀진 것 같음, 42:9과 43:2절에 원수의 억압과 압제로 말미암아 버려짐 등의 현실이다. 그러나 사슴이 시냇물을 찾음 같이 주를 찾는다. 주의 인자하심과 공의를 의지한다. 여호와께 소망을 둘 때 도움을 얻게 된다. 더보기
에스겔 5장 죄악이며, 하나님의 율법과 율례를 행하지 않고 지키지 않고(6-7) 성소를 더럽혔다(11). 결과적으로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가 깨어진다(10, 참고 회복으로서 말4:6). 할례를 통한 언약적 연결이 파괴된다. 전염병, 전쟁의 칼, 그리고 여호와의 칼을 통한 진노이다(기근 등). 이방에 수치와 모욕과 경고가 될 것이다(15). 더보기
고린도전서 7장 결혼과 독신에 대한 바울 사도의 입장은 현재 상태를 부름으로 본다. 결혼한 자는 가정생활을 통해서, 처녀나 과부이면 그대로 지낸다. 임박한 환난의 때에 복음을 위해서. 부름과 은사이다. 불신 남편이 아내로 거룩하게 되고 불신 아내가 남편으로 거룩하게 됨은 구약적인 부정의 원리를 거슬린다. 복음이 주는 새로운 질서이다. 기본적으로 남자가 여자를 가까이 아니함이 좋다(1). 가까이 한다면 그것은 결혼이다. 더보기
사무엘상 26장 사울이 다윗을 찾으러 십 광야로 또 내려온다. 다윗이 사울을 다시 살려준다. 여호와의 기름부음을 받은 자이기에(9, 11, 16, 23). 사울이 다윗을 죽이려 하고 망명길로 몰은 것에 대해 19절에서 말하기를 가서 다른 신들을 섬기라 쫓아내어 여호와의 기업에 참여하지 못하게 함이라고 이해했다. 결국 다윗은 이스라엘의 무리에게서 출교된 상황과 같다(22:2 참조). 사울의 기름부음을 존중함으로 하나님을 존중히 여긴 다윗은 하나님께 존중히 여김을 받게 된다(24, 삼상2:30). 여호와께서 주신 기회라고 다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호와를 존중히 여기는 길을 가야 하는데 그것이 여호와를 경외하는 지혜이다(21절 참고). 더보기
시편 41편 가난한 자를 돕는 자가 지금 병상에 있다. 그가 회개하면서 하나님의 은혜를 구한다. 그런데 대적들은 그의 병을 근거로 거짓으로 조롱한다. 친구까지도 그렇게 한다. 그러나 병자는 여호와께 은혜를 지속적으로 구한다. 하나님께서 온전히 붙드시고 회복하심을 확신하고 소망한다. 더보기
시편 40편 비록 죄와 연약이 가득 있지만 하나님의 인자와 긍휼을 소망한다. 재앙의 날을 이용해서 둘러서서 조롱하며 정죄하는 자들로부터는 그러나 구원을 간구한다. 결국 제사가 아니라 여호와만을 의지하여 구원을 얻고 주의 공의와 구원을 선포하는 새노래를 부른다. 주를 찾는 자는 다 주안에서 기쁨과 즐거움을 회복한다. 더보기
에스겔 4장 예루살렘의 포위와 멸망을 예고하는 상징적 징조를 보인다. 390일을 왼쪽으로 누워 부정한 떡을 먹고 북왕국 이스라엘의 죄를, 40일을 오른쪽으로 누워 남왕국 유대의 죄를 담당한다. 예루살렘은 반드시 망한다. 선지자는 그 상징의 날수 동안 소량의 떡과 물을 먹음으로 예루살렘 성이 그 의뢰하는 양식이 부족하게 되어서 결국은 망할 것을 전달한다. 근심의 떡과 두려움의 물을 먹다가 결국은 망한다(16-17). 부족함이 없는 여호와를 떠난 결과이다(17, 시23: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