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54편 1-7절 2014년 2월 9일 주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시편 54편 1-7절 우리의 도움은 여호와에게서 1. 시편의 정황 3절에 보면 낯선 자들이 치고, 포악한 자들이 생명을 찾는다. 그런데 그들의 정체는 하나님을 염두에 두지 않는 자들이다. 이런 정황에서 구원과 도움을 요청하는 시이다. 시편의 저자인 '나'는 아마도 위급한 정황속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의 '이름' 밖에는 없는 상황이다(1, 6). 이름이 가진 힘은 구체적으로 기도로(2) 표현된다. 이런 정황은 표제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다윗이 사울을 피해서 도망할 때에 십사람들이 다윗의 피난처를 사울에게 고발하는 상황이다. 요나단이 다윗을 만나서 하나님을 힘있게 의지하도록 격려하는 그 시간에(삼상23:15-18) 십사람들은 다윗의 은신처인 .. 더보기 창세기 21장 1-21절 2014년 2월 8일 토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21장 1-21절 1. 본문에 대한 고려점들 1) 본문은 창12:10-20절에 나오는 애굽에서 있었던 일과 본질적으로 유사한 사건이다. 아내를 누이라고 속이면서 생존을 하는 일. 이것을 다시 한번 언급한 이유가 무엇일까? 2) 본문은 사라를 통해서 아이를 내년에 낳을 것이란 말씀 다음에 위치한다(18:14). 소돔성의 멸망을 통해서 동시에 하신 말씀인 이삭의 탄생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주어진 사건이다. 따라서 이 사건은 사라가 이삭을 낳아서 아브라함의 상속자가 되는 일에 결정적인 위협이 되는 사건이다. 3) 이런 속임의 방식은 아브라함의 말과 같이 삶의 전략이었다(13). 이미 아비 집을 떠날 때부터 나그네로 살아가는 삶이 채용한 방식이다. 강.. 더보기 창세기 20장 1-18절 2014년 2월 7일 금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20장 1-18절 1. 본문에 대한 고려점들 1) 본문은 창12:10-20절에 나오는 애굽에서 있었던 일과 본질적으로 유사한 사건이다. 아내를 누이라고 속이면서 생존을 하는 일. 이것을 다시 한번 언급한 이유가 무엇일까? 2) 본문은 사라를 통해서 아이를 내년에 낳을 것이란 말씀 다음에 위치한다(18:14). 소돔성의 멸망을 통해서 동시에 하신 말씀인 이삭의 탄생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주어진 사건이다. 따라서 이 사건은 사라가 이삭을 낳아서 아브라함의 상속자가 되는 일에 결정적인 위협이 되는 사건이다. 3) 이런 속임의 방식은 아브라함의 말과 같이 삶의 전략이었다(13). 이미 아비 집을 떠날 때부터 나그네로 살아가는 삶이 채용한 방식이다. 강.. 더보기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