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년 9월 4일 목요일 2장 12-17절 1. 본문 구절 설명 이제라도 금식하고……내게로 돌아오라(12절): ‘이제라도’라는 표현은 아직도 기회가 있음을 뜻한다. 회개할 기회다. 회개는 외적인 금식을 통해 마음에서 회심을 일으키는 것이 되어야 한다. 마음을 찢어야 한다. 하나님께로 돌아와야 한다. 우상과 세상의 열방으로부터 돌아오라는 말이다. 그는 은혜로우시고 자비로우시며(13절): 구약의 복음과 같은 선언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금송아지를 만들었을 때 하나님께서 사죄해주셨던 근거다(출 34장 6, 7절). 이후 구약에서 세대를 이어 하나님의 은혜를 표현하는 상용구가 되었다(민 14장 18절, 시 86편 15절, 103편 8절, 145편 8절, 욘 4장 2절, 미 7장 18절, 나 1장 3절 등). 주의 백성을 불쌍히 여기소서(17절): 하나님.. 더보기
2014년 9월 3일 수요일 2장 1-11절 1. 본문의 구절 설명 여호와의 날이 이르게(1절): 이스라엘이 기대하는 하나님의 날은 축복의 날이다. 대적을 부수고 해방된 출애굽의 날과 같은 날을 맞이할 기대로 산다. 그러나 요엘 선지자는 하나님의 날이 심판의 날이기도 하다고 선포한다. 많고 강한 백성이 이르렀음이라(2절): 이 백성이 이방 나라를 의미할 수도 있고, 앞서 1장 6절과의 연속성에서 살피면 메뚜기 떼를 의미할 수도 있다. 메뚜기 떼와 함께 뜨거운 기근이 이스라엘을 황폐하게 만드는 상황이다. 여호와께서 그의 군대 앞에서(11절): 많고 강한 백성의 군대가 질서 정연하게 움직이면서 모든 장벽을 극복하고 장악한다. 그 군대의 대장이 하나님이시다. 즉 메뚜기의 재앙은 하나님께서 내리시는 재앙이고, 그날이 하나님의 날이다. 2. 본문의 주된 흐.. 더보기
2014년 9월 2일 화요일 1장 13-20절 1. 본문 구절 설명 금식일을 정하고(14절): 제사장들이 슬프게 울어야 한다. 이유는 소제와 전제를 드리지 못하기 때문이다(9, 13절). 성전이 제 기능을 못하는 상황에 이를 때에 금식일을 정하고 온 무리가 모여서 부르짖어야 한다. 하나님의 날이 멸망의 날이기 때문이다(15절). 가축이 울부짖고(18절): 먹을 것과 성전으로부터 나오는 기쁨과 즐거움이 연결된다(16절). 결국 씨가 싹을 틔우지 않고 열매가 없어서 곡간이 비고, 이 때문에 가축들이 먹을 것을 달라고 부르짖는다. 이는 창조 때에 하나님께서 보시기에 좋았던 상태가 아닌 저주의 상태다. 들의 풀이 불에 탔음이라(20절): 19, 20절의 불은 뜨거운 태양의 열을 비유한 표현이다. 비가 오지 않는 기근을 뜻한다. 메뚜기 떼에 이어서 비가 오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