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묵상하기/SFC 날마다 주님과

창세기 19장 1-38절

창세기 19장 1-38절.hwp

2014년 2월 4일 화요일 - 6일 목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창세기 19장 1-38절

1. 묵상을 위한 질문들
1) 소돔에 간 천사가 셋이 아니라 둘인 이유는(1)?
2) 롯이 아브라함과 같이 두 천사를 영접한다. 18-19장의 연속에서 두개의 같은 행위는 무엇을 의미할까?
3) 5절에 소돔 사람들이 상관하려고 한다. 여기서 상관이 무엇인가?
4) 두 딸을 주어서 나그네들을 보호하려고 한다. 이런 배경은?
5) 그들에 대한 부르짖음이 여호와 앞에 크다고 한다. 소돔의 죄악의 실체는? (13)
6) 지체하는 롯과 그의 가족들을 강제로라도 이끌어내시는 이유는(16, 29절비교)?
7) 아브라함이 소돔이 멸망하여 연기가 올라가는 것을 보는 장면의 의의는(27-29)?
8) 31절의 온 세상의 도리란?
9) 모압과 암몬의 조상들의 기원에 대한 롯과 두 딸의 기사가 가진 의의는?

2. 묵상을 위한 고려점들
1) 소돔으로 가서 소돔의 멸망을 선고하는 일과 사라에게 상속자가 생길 것을 말함으로 의와 공도를 이루는 나라를 세우는 일이 같은 사자들에 의해서 진행된다. 결국 의와 공도의 아브라함 나라를 세우고, 불의한 소돔은 멸망시킨다. 세 사람중(18:2), 한분이신 여호와는 아브라함의 중재를 듣고 계신다(18:22). 그리고 그 때 두 천사는 소돔을 방문하여 롯의 영접을 받는다.
2) 롯도 아브라함과 같이 천사들을 나그네로 영접하여 대접한다. 롯의 경우 롯의 아내가 음식을 했다는 진술은 없다. 세 사람의 같은 노정에서 만나게 되는 나그네 대접의 문제는 아브라함과 롯의 일치됨과 소돔성의 악을 대조한다. 롯이 신약 벧후2:6-8절에서 의로운 롯이 소돔의 불법한 행실로 고통을 당한다고 평가한다. 이는 의인과 함께 악을 멸하지 말아달라는 아브라함의 기도가 롯을 대상으로 했음이 말한다. 나그네에게 먹을 것을 주면서 대접하는 것이 의의 표상으로 보인다.
3) 상관한다는 동사가 '알다'이다. 이것은 부부와 남녀 사이에 사용될 때 성적인 관계를 말한다. 소돔의 죄악이 동성애적 음란이라고 알려진 것은 이 동사가 가진 성적인 의미 때문이다. 상관을 외부 침입자들에 대한 조사를 하려는 뜻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롯이 두 딸을 내어주며서 흥정을 한 것을 보면 성적인 의미로 이해되는 분위기이다. 사실 이 장면에 대한 성경의 다른 기록이 음란이라고 평가한 부분은 벧후4:3이외에는 잘 보이지 않다. 오히려 구약은 소돔의 죄악이 불의하다고는 말한다(사1:9-17, 겔16:49등).
4) 구약의 근동 배경은 나그네를 보호하는 것을 중요하게 보았다. 물론 남자를 중심으로 그러하다. 롯이 두 딸을 내어 놓으려고 흥정한 것은 사사 시대의 베냐민 지파의 한 노인이 자기 집에 들어온 레위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서 자기 딸과 레위인의 첩을 내어 놓고 흥정한다.
5) 소돔의 악은 3)에서 밝힌대로 동성애적 음란이라고 일반적으로 보지만 더 우선적인 악은 불의이다. 겔16:49절과 사1:9-17절에 나타난 풍요한 것을 가지고도 가난한 자들을 돌아보지 않은 불의이다. 창19: 1절에도 성문에 앉았다가 두 천사를 영접한 자는 롯이다. 성문에는 성의 유력한 자들이 앉아있다. 그러나 대접한 사람은 롯이다. 부지중에 천사를 대접했다는 히13:2의 평가가 의미있다. 공평하지 못한 악, 스스로 먹고 마시며 사고 파는 일에 취해있는 시대를 말한다.
소돔의 죄악에 대해서 신약은 눅17:28에서 "먹고 마시고 사고 팔고 심고 집을 짓더니"라고 규정한다. 이 세대에 성실하게 살다가 망한 자들이 소돔성이다. 자신들의 삶을 부유하게 하기 위해서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 살다가 가난한 자들을 돌보지도 않았고, 가증한 일을 탐익하다가 망했다. 부함과 성적인 타락이 연결되었다고 본다.
6) 롯과 그의 가족을 이끄시는 것은 아브라함과 연결되었다(29). 아브라함을 생각하사 구원하신다. 실제로 아브라함이 가나안으로 이주할 때 함께 왔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그리고 나름대로 의로운 자로서 나그네를 대접하면서 소돔의 질서에 고통을 당하였다. 롯이 비록 약속의 기업의 후사, 상속자는 아니지만 언제나 아브라함의 언약의 약속에 참여하도록 기회를 제공받고 있다. 아브라함에게 붙들려 있는 범주에서 참된 복에 참여함을 증거한다. 이것은 이스마엘이나 에서도 마찬가지이다.
7) 아브라함은 하나님이 말씀하시던 곳에 서서 소돔이 유황불에 멸망당한 장면을 확인한다. 이는 말씀하신대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아브라함은 한 가지 더 생각하게 된다. 소돔의 멸망과 동시에 주신 약속이 있다. 아브라함의 나라를 의와 공도의 나라로 세우신다는 약속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사라에게 아들 이삭을 주신다는 약속이다. 소돔의 멸망과 동시에 의의 나라를 위해서 아들 이삭을 주신다는 약속이 성취될 것을 확인하게 된다.
8) 결혼이 가지는 씨의 번성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말한다.
9) 왜 다른 사람들을 생각할 수 없었는가라고 롯의 딸들에게 질문할 수 있다. 소돔이 음란함을 배운 결과라고 하는 것은 지나친 측면이 있다. 사위들이 농담으로 여겼다는 말을 보아서 결혼을 경험한 여자들이다(창19:14). 과부로서 그리고 이주민인 나그네들이고, 또한 모든 재산을 잃어버린 상태에서 다시 정착해서 산다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다.

3. 찬송과 기도
불의한 성읍 소돔을 멸망시키시고, 의로운 나라를 세우시기 위해서 일하시는 하나님을 찬송합니다.
죄의 가득함은 불의로 증거된다. 가난한 자를 돌보지 않은 죄와 가난한 자들의 몫을 가지고 향략에 도취된 삶을 살지 않도록 깨어 있게 하소서.

4)의 롯의 딸을 내어 주는 것이나 레위인의 첩을 내어준 것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

요즘 표현으로 하면 여자를 희생물로 삼아서 나그네를 보호하려는 율법이 정상이 아닐 것이다. 이런 방법이 비상한상황으로 여겨지고, 롯이나 사사시대의 노인의 남다른 약자 즉 나그네를 보호하려는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할 것 같다. 

'묵상하기 > SFC 날마다 주님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21장 1-21절  (0) 2014.02.08
창세기 20장 1-18절  (0) 2014.02.08
창세기 18장 16-33절  (0) 2014.02.04
창세기 18장 1-15절  (0) 2014.02.01
창세기 17장 15-27절  (0) 2014.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