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18일 수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데살로니가전서 4장 1-8절
거룩한 삶과 성령
1. 본문의 문맥- 우리가 끝으로 [1]
바울 사도는 편지에서 전반부는 신앙적 원리를 소개하고 후반부는 실제적 권면을 한다. 고난 가운데서받은 복음과 믿음에 굳게 서는 일을 위한 관심을 보인 후에, 구체적으로 데살로니가 교회가 마땅히 행할 바를 힘쓰라고 권한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주어진 명령이다(2). 즉 복음의 명령이다. 율법이란 표현보다는 율법을 온전하게 하신 예수님의 권위와 관련해서 하나님의 뜻을 소개한다. 3절에서 하나님의 뜻은 거룩함이라고 한다. 그리고 거룩의 반대되는 한 실체로서 음란을 버리라고 권한다.
데살로니가에 성행한 디오니소스 종교는 남근의 우상을 가진다. 이것은 종교가 음란을 조장함을 말한다. 종교가 음란을 신적으로 허용하고 조장하는 사회는 아주 음란한 사회가 된다. 믿음으로 사는 그리스도인은 그 시대와 구별된 모습이 필요하다. 음란을 버려야 한다. 특히 아내와의 관계를 주의한다. 색욕은 이방인들의 삶의 모습인데 이를 따라서는 안된다.
2. 이 일에 분수를 넘어서 형제를 해하지 말라[6]
'이 일'은 지금 언급하고 있는 음란의 문제이다. 4-5절을 보면, 아내와 관련해서 음욕을 품어서는 안된다. 그런데 이런 분수, 즉 경계를 넘어서 형제를 해하는 일이 생긴다. 즉 형제의 아내를 취하는 일도 생긴다. 형제를 해하지 말라는 것이 문맥적으로 이렇게 해석되기도 하고 문자적으로 형제에게 해를 끼치지 말라이기도 한다. 즉 재산상이나 신체상의 갈취나 해를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음란이란 문맥이 더 강한 것 같다. 그렇게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주님께서 보복하시기 때문이다. 주님이 갚으신다. 다시 한번 하나님의 부름은 거룩이다(7).
3. 하나님이 우리를 부르심은 부정하게 하심이 이나요 거룩하게 하심이니[7]
거룩은 살전3:13, 4:3,4, 7절에서 반복된 주제이다. 따라서 중심 단어로서 단락을 형성한다. 거룩은 분리란 개념이 우선한다. 하나님께서 거룩하심은 세상과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하나님의 독특한 모습을 거룩이라고 한다. 하나님께 속한 모든 것이 거룩하다. 이것이 사람에게 적용되어서 하나님의 사람으로 분리되어 거룩하다. 그런데 인격이기에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하는 윤리적 성격을 거룩이 반영한다. 그래서 거룩은 물리적이며, 종교적 분리의 의미를 넘어서 정의와 공평 혹은 순결 등을 함유해야 한다. 신약에서 경건이란 표현과도 연결된다. 약1:27절이다. 세속에서 자기를 지키고 고아와 과부를 돌아보는 것이다. 이런 거룩의 주체가 성령임을 8절이 소개한다. 그래서 음란한 삶은 사람을 저버림이 아니고 우리에게 믿음을 주신 성령을 저버리는 행위로 규정한다.
거룩한 삶으로서 음란에서 벗어나야 한다. 인터넷을 음란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버리고 그리고 적극적으로 정결함과 아내를 사랑한다. 그렇지 않으면 성령을 거절하는 삶이 된다.
'묵상하기 > SFC 날마다 주님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살로니가전서 5장 1-11절 (0) | 2013.12.30 |
---|---|
데살로니가전서 4장 9-18절 (0) | 2013.12.30 |
데살로니가전서 3장 1-13절 (0) | 2013.12.30 |
데살로니가전서 2장 13절-20절 (0) | 2013.12.30 |
시편 47편 1-9절 (0) | 2013.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