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19일 목요일 SFC 날마다 주님과 묵상 데살로니가전서 4장 9-18절
거룩한 삶의 실제-형제 사랑과 종말의 위로
1. 본문의 문맥
데살로니가 교회가 고난 가운데 받은 복음에 굳게 서서 거룩함에 흠이 없기를 사도가 기도한다[3:13]. 그리고 마지막 실제적 권면으로 거룩함이 하나님의 뜻이라고 했다[4:1이하]. 그리고 중요한 부정적 실제로서 음란을 버리라고 한다[4:3]. 이제 거룩함의 적극적인 측면들은 몇 가지 주제로서 정리한다. 형제 사랑에 대해서[9-12], 자는 자들에 관해서[13-18] 그리고 재림의 때와 시기에 관하여서[5:1-11] 이다.
2. 형제 사랑에 관하여는[9]
먼저 형제 사랑에 대해서는 사랑의 수고로 인정하였다[1:3]. 그래서 더 쓸 것이 없는 것이지만 하나님의 가르치심을 따라서 더욱 풍성하게 서로 사랑하라고 권한다. 하나님의 가르치심은 바로 복음이다. 하나님의 사랑이 드러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이다. 이 복음을 따라서 서로 사랑해야 한다. 실제로 마케도냐 온 지역의 형제를 사랑한다. 그래서 더욱 그렇게 하기를 바라는 소망을 나눈다.
그리고 11-12절은 형제 사랑과 다른 측면으로 보이는 열심히 일을 하라는 명령이다. 다른 사람의 사랑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지만 스스로 일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그것이 외인 즉 신앙이 없는 교회 밖의 사람들에게 좋은 모습이다. 고대 사회가 먹을 것이 넉넉하지 못한 사회에서 궁핍과 가난의 문제로 형제와 이웃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 것이 좋다. 나아가 남을 도울 수 있도록 일을 해야 한다(엡4:28).
3.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13]
먼저 죽은 자들에 대해서 잘 알기를 원한다. 소망이 없는 자들과 같이 슬퍼하기만 하지 말고 성도의 죽음이 가진 참된 의미를 이해하도록 권한다. 믿음의 중심에 있는 예수님의 부활을 기억하자. 그가 승천하시고 다시 오신다. 그때에 죽은 자들이 일어나고 우리도 함께 그와 함께 올려서 주와 함께 항상 있을 것이다. 즉 먼저 죽었음과 살아 있는 우리와 아무런 차이가 없다. 함께 주님의 복된 은혜에 참여한다. 이런 소망을 잊지 말자.
4. 주께서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와 하나님의 나팔 소리로 친히[16]
이것은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여리고 성을 점령하던 장면을 기억하게 한다. 수6:16절이다. 여호수아가 백성들에게 외치라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이성을 주셨다는 소리와 함께 나팔이 울린다. 그리고 성이 무너진다. 가나안의 첫 성이 약속의 백성의 것이 되는 순간이다. 주님이 인도하시는 새로운 세계로의 진입이 이런 여리고 사건과 연결됨은 의미가 있다.
5. 주를 영접하게 하시리니[17]
영접한다는 단어는 강림한다는[15] 말과 짝을 이룬다. 주께서 강림하시기에 주를 영접한다. 이것은 로마 시대의 배경으로 로마의 황제나 집정관이 지역 순찰을 하는 것을 강림한다[파루시아]고 하고, 그들을 지역 대표나 백성들이 영접한다[아판테신]. 로마의 평화가 구현되는 방식으로 강림과 영접과 대조되는 그리스도의 평화를 기다리는 성도들의 소망을 말한다. 죽음을 지나서도 유효한 참된 평화와 위로 그리고 안식의 나라가 우리의 소망이다.
성실한 삶 그리고 소망에 흔들리지 않는 삶이 거룩한 삶의 실제로 받자.
'묵상하기 > SFC 날마다 주님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복음 1장 46-56절 (0) | 2013.12.30 |
---|---|
데살로니가전서 5장 1-11절 (0) | 2013.12.30 |
데살로니가전서 4장 1-8절 (0) | 2013.12.30 |
데살로니가전서 3장 1-13절 (0) | 2013.12.30 |
데살로니가전서 2장 13절-20절 (0) | 2013.12.30 |